
저번주부터 논술시험이 시작되었는데요 실제로 시험을 보고 난 느낌은 어떠신가요? 대학 강의실에서 시험을 보는 첫 경험이었을 텐데요 제가 가르치는 학생은 경희대 시험을 보고 왔는데 나름 잘봤다고 하네요 수리논술시험은 답안공개를 하지않기때문에 자신이 쓴 답안이 정답이라고 생각하고 답안을 내야 하기에 발표가 나오고서야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잊고 지내다가 합격의 소식이 들리기도 합니다. 그럼 논술시험의 막바지인 12월 초까지 열심히 달려봅시다. 수리논술로 대학가자 오늘은 아주대학교와 어깨를 나란히하는 인하대학교 수리논술에 대해서 현장에서 강의할 때 중요한 부분의 노하우와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잘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수학등급컷 정시지원 실전팁 이제 수리논술이 조금은 익숙해 지셨나요? 아주대학교..

수능이 끝나고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은 하나같이 불수능이라고 울먹거리네요 뉴스에서는 킬러문항이 빠지고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쉬워졌다고만 하는데 학생들이 느끼는 체감난이도는 당연히 아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이제 수능이 끝났다고 해서 끝난 게 아니니 논술전형에 지원한 학생들은 18일부터 논술시험을 치르게 되는데요 준비는 어떻게 했나요? 논술은 수능수학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오늘은 실제 기출문제를 보며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대학교 수리논술 가이드◈ 김레오가 생각하는 아주대의 논술시험은 전형적인 수리적사고를 물어보는 말 그대로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을 현실적으로 반영하여 문제가 출제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범위도 미적분으로 한정적이며 최저등급 또한 없고 논술로만 우열을 매기는 것 같습..

혹시 수리논술을 준비하고 있나요? 어렵게만 생각하고 있지는 않나요?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나요? 이제 수능이 얼마 안 남은 시점에서 수시접수를 한 학생들은 논술에도 비중을 두어야 합니다. 수리논술공부는 평소의 수학공부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며 답안지를 서술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술형은 수리논술이 아니다? 흔히 서술형 답안지라고 하면 풀이과정을 연산과정만 나열하도록 실시하고 있기에 학생들은 잘 접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확실한 방법을 알고 연습하며 자신만의 모범답안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수리논술은 말 그대로 논술이며 수리적인 사고력을 가지고 자신만의 생각을 서술하는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답만을 목적으로 풀이하는 시험이 아님을 인지하고 왜 이렇게 풀이를 했는지에 대한..